IBM 의 웹스피어 8.5 윈도우즈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해보았다. 설치 후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ImportConfigArchive 라는 부분에서 막혀서 더이상 진행이 안 되서 여러가지로 시도를 해봤는데..
결국 원인은 시스템 환경변수에 엉뚱한 값이 들어가 있어서였다. 제어판-시스템-고급 시스템 설정-시스템 속성창에서 고급 탭 클릭-환경 변수 클릭
사용자 변수 중에 PATHEXT 가 .EXC 가 있는 경우 PATHEXT를 그냥 지우면 된다. 원래는 사용자 변수에는 PATHEXT 가 있지도 않다. 이것은 시스템변수에만 있는 것이다. 아무튼 있으면 지운다.
사용자변수중 path 부분은 맨 뒤에 ;c:\IBM\WebSphere\AppServer\java\bin 를 추가한다. (이 방법은 IBM에서 권장한 방법이다)
그후 리부팅하여 다시 설치를 해본다.
그리고나서 쭉 진행이 되면 관리콘솔도 열어보자.
https://localhost:9043/ibm/console/logon.jsp
여기로 들어가면 될 것이다.
이 엉뚱한 값이 웹스피어를 설치하다가 들어간 건지 아니면 다른 원인으로 들어간 건지는 확실하지 않다. 어쨌든 지워야되는 것은 확실하다.
웹스피어 서버 중지 : \WebSphere\AppServer\profiles\AppSrv01\bin\stopserver.bat server1
server1 이란 네임은 \WebSphere\AppServer\profiles\AppSrv01\servers 디렉토리에 들어가면 존재하는 하위 디렉토리명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거 실행하면 아디/패스워드 묻는 창이 뜬다. 여기서 맞게 치면 꺼진다.
웹스피어 서버 시작 : websphere\appserver\profiles\appsrv01\bin\startserver.bat server1 -profileName AppSrv01
이제 웹스피어에 어플리케이션 즉 war파일을 추가해서 jsp 페이지를 띄워보자. 최초 이클립스에서 dynamic web project 를 적당히 만들고 나서(또는 스프링 플젝) 이것을 war파일로 export한다. 이 war파일을 관리 콘솔에서 임포트한다. 좌측 메뉴의 <새 애플리케이션>에서 이 war파일을 골라준다.
적당히 진행하고 context root 만 잘 골라주고 나면 임포트가 된다. 이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유형->webshere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면 임포트한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것이다. 상태는 x상태로서 아직 돌아가지는 않는다. 이제 올라간 war파일의 앞 부분을 체크해주고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뭔가 빙글빙글 돌다가 시작됐다고 메시지가 나온다.
다른 설정을 건드리지 않고 웹스피어를 그냥 설치했다면 기본 포트는 9080이다.
http://localhost:9080/springmvcproj/
이런 식으로 들어가면 된다.
이런 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씩 추가한다. 물론 관리 콘솔에서 필요한 것만 중지하거나 아예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치 톰캣처럼 웹스피어를 이클립스에서 쓸 수는 없을까? 이클립스(가급적 최신 버전 권장, 필자는 스프링 STS 3.6.3 사용함)에서 servers 뷰에서 추가를 하고 download additional server adapters 를 클릭하면 인터넷에서 이클립스에 없는 서버 목록을 가져온다. 그중에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v8.5 liberty profile 을 추가하고 설치한다. 그리고나서 웹플젝을 추가해주고 사용하면 된다. 80메가 가량의 경량 버전 웹스피어가 깔린다.
웹스피어와 함께 IBM Http server 라는 것도 있다. 이것은 아파치 서버를 베이스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아파치를 쓰지 않고 굳이 이것을 쓰겠다고 하면 웹스피어 설치 시에 같이 설치하면 된다. 또는 웹스피어 설치 이후 설치시디를 다시 넣어서 설치하면 된다.
위 화면을 어디선가 많이 봤을 것이다. 설치 과정중에 위와 같은 화면이 떴을 때 http server 도 같이 설치했어야했다. 어쨌든 다시 시디 넣고 설치해도 무방하다.
위 그림처럼 IBM Http server 를 체크하고 그 다음은 쭉 진행하면 된다.
이것을 설치하고나서 윈도우즈라면 서비스에 추가하고 시작시킨 다음,
위 그림처럼 서버-서버유형-웹 서버에서 추가를 하면 된다. http server가 설치된 디렉토리만 잘 지정해주면 될 것이다. -> 표시가 되면 웹서버가 잘 실행된 상태이다. 이제 http://localhost:80 을 들어간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보통 웹어플서버는 9080 같은 특수한 포트를 사용하고 웹서버가 80포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웹서버에서 was서버로 링크를 걸어서 연결되게끔 설정을 많이 한다.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소프트웨어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자료 보관 (0) | 2022.10.09 |
---|---|
인터넷뱅킹 (0) | 2022.10.09 |
litecam (0) | 2022.10.09 |
SRT (0) | 2022.10.09 |
Lenovo Vantage (1) | 202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