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시에 비번이 아닌 PIN을 이용해 윈도우즈에 로그인할 수가 있다. 이 핀정보는 서버가 아닌 로컬피씨에 저장이 된다고 한다. 편리한 로그인 방식이긴 한데 주의할 점이 있다.
예를 들어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한다거나 TPM을 지운 경우 핀으로 로그인을 할 수가 없다.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위 그림중 "보안을 강화하려면 이 장치의 Microsoft 계정에 Windows Hello 로그인만 허용함(권장사항)" 이 켬으로 되어 있으면 핀으로만 로그인이 가능하고 비번으로는 로그인이 불가하다. 그래서 핀이 틀어져서 로그인을 못할 경우 비번이라도 입력하려고 해도 입력 자체가 불가능하다.
문제는 핀으로 셋팅하면 이 옵션이 기본으로 켬이 된다는 것이다.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이걸 잘 모를 것이다.
만에 하나 바이오스 업데이트 등으로 로그인이 불가한 상황이 되면 위 그림처럼 뜨고 "내 PIN 설정"을 아무리 클릭해도 안 된다.
따라서 "보안을 강화하려면 이 장치의 Microsoft 계정에 Windows Hello 로그인만 허용함(권장사항)" 이 설정을 끄는 것이 좋다. 어차피 개인용 집컴퓨터에 이 정도까지 보안은 필요도 없을 것이다.
만일 위와 같이 핀로그인이 불가한 경우에는 다른 로컬계정으로 다시 접속하여 레지스트리에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asswordLess\Device
DevicePasswordLessBuildVersion 값을 2에서 0으로 변경한다. (REG_DWORD) 그리고 재부팅을 하면 비번으로도 접속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로컬계정이 없어서 절대로 로그인할 수 없는 경우라면 컴터를 다시 시작할 때 안전모드로 진입한 후 레지스트리 하이브를 가져와서 DevicePasswordLessBuildVersion 값을 0으로 변경한다.
안전모드 진입 : https://blog.daum.net/europond/1088 참고
안전모드에서 레지스트리 수정 : https://blog.daum.net/europond/1004 참고
정상적으로 작업이 되었다면 아래 그림처럼 "로그인 옵션"이 표시된다.
위 그림에서 "로그인 옵션"클릭
위 그림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하면 비번을 입력하는 창이 뜬다. 이런 식으로 핀이 아닌 비번을 입력해서 로그인하면 된다.
'Windows > Windows 11 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90] 윈도우즈 업데이트 이슈 (0) | 2022.10.04 |
---|---|
[70] 스토어앱 다운로드중 0x80073CF9 오류 (0) | 2022.10.04 |
Windows 11 재설치 (0) | 2022.10.04 |
windows 실행파일 (0) | 2022.10.04 |
안전모드 진입하기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