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Google

구글 크롬

decard 2022. 10. 10. 10:52

구글 크롬 Chrome 설정

메뉴 → 설정

 

내 Google 서비스 설정

동기화 및 Google 서비스

동기화

 동기화 관리 

    동기화 맞춤설정 :선택

      앱  : 체크 해제

      확장 프로그램  : 체크 해제

      방문 기록 : 체크 해제

      읽기 목록 : 체크 해제

      열린 탭 : 체크 해제

      저장된 탭 그룹 : 체크 해제

      주소 및 기타  : 체크 해제

      Google Play 에 사용되는 결제 수단, 쿠폰, 주소  : 체크 해제

      동기화는 북마크, 설정, 테마, 비밀번호 및 패스키 를 제외하고 모두 체크해제한다. 

 

다른 Google 서비스

▶Chrome의 기능 및 성능 개선에 참여: 체크 해제

▶검색 및 탐색 기능 개선: 체크 해제

▶Google Drive 검색 추천어 : 체크 해제

 

자동 완성 및 비밀번호

Google 비밀번호 관리자

설정 

▶ Windows Hello 를 사용하여 비밀번호 입력 : 체크해제(기본적으로 핀번호를 넣어야 폼에 비번이 입력된다. 필요없으면 체크해제)

 

결제 수단 

▶결제 수단 저장 및 자동 입력 : 결제 수단 저장이 필요 없으면 체크 해제

▶사이트에서 저장된 결제 수단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허용 : 결제 수단 저장이 필요 없으면 체크 해제

 

주소 및 기타

▶주소 저장 및 자동 입력 : 체크 해제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보안

보안 DNS 사용 : Wi-Fi 접속시에 속도가 느리면 체크 해제

 

 

성능

속도

▶페이지 미리 로드 : 체크 해제

 

모양 

모든 기기에서 생성된 새 탭 그룹을 북마크바에 자동으로 고정 : 끈다 

탭 미리보기 이미지 이미지 표시 : 끈다 

탭 메모리 사용량 표시  : 끈다 

 

글꼴 맞춤설정 

▶고정폭 글꼴 : '맞춤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다른 글꼴로 바꾼다. (Malgun Gothic) 다른 글꼴로 바꾸고 나면 '맞춤설정'은 더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아마도 크로미움 엔진의 기본적인 버그인 것 같다. '글꼴 맞춤설정'에서 표준 글꼴, Serif, Sans-serif, 고정폭 글꼴을 모두 한 가지로 맞춘다. 한글버전인 경우 Malgun Gothic (맑은 고딕)으로 4개 모두 맞추면 되겠다. 영어버전은 Arial 이나 Tahoma추천한다. 

검색엔진

검색엔진 및 사이트 검색 관리

단축키 : 스페이스바 또는 Tab → Tab

사이트 검색 

     방문기록, 북마크, 탭, Amazon.com, Bing 등등 : 우측 ︙ 선택후 "비활성화"

언어

▶맞춤법 검사 : 체크 해제

 

접근성

▶ 텍스트 커서로 페이지 탐색 : 끄기 

▶ 페이지간 스와이프 : 끄기

시스템

▶Chrome 종료 후에도 백그라운드 앱을 계속 실행 : 필요 없으면 체크 해제

 


만일 구글드라이브나 각종 구글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사용이 되지 않을 경우,

모든 인터넷 창을 닫고, 설정에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기간: "전체기간" 으로 설정하고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버튼 클릭

위와 같이 인터넷 캐시를 삭제한 후 크롬을 종료 후, 다시 연다. 

 


구글드라이브에서 파일 다운로드가 안 되는 경우

모든 인터넷 창을 닫고, 설정에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일반설정 : 기본값은 '시크릿 모드에서 타사 쿠키 차단'이다. 이것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바꿔준다. 
또는 '모든 쿠키 허용'으로 변경해본다. 

▶더 빠른 인터넷 사용과 검색을 위해 페이지 미리 로드 : 체크 해제

이와 같이 설정하고나서 크롬을 종료 후, 다시 연다. 


연결할 수 없습니다. 웹 사이트에서 HSTS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현재 로컬 호스트를 방문 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오류 및 공격은 일반적으로 일시적이므로 이 페이지는 나중에 작동 할 것입니다.

 

어쩌고 하는 메시지가 뜬다면 그 사이트를 https 로 한 번 접속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후에 http로 접속하려고 해도 크롬에서 자동으로 https로 접속하려고 하면서 이런 에러가 발생한다. 

chrome://net-internals/#hsts

에 들어가서 Delete domain security policies 에서 해당 사이트를 입력하고 Delete 버튼을 클릭한다. 이때 도메인이 길다면 여러 번 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ttp://abc.xsite.bbb.com/main/some1.do 이라면

abc.xsite.bbb.com

xsite.bbb.com

bbb.com

이와 같이 3번 delete해줘야 한다. 


제어판 > Windows Tools > 작업 스케줄러
\GoogleSystem\GoogleUpdater
GoogleUpdaterTaskSystem136.0.7079.0{~~~~~~}
만일 유튜브가 프리징이 생긴다면 이것을 "사용안함"으로 설정한다.